728x90
1. 태그에 직접 Style 넣기
* 보통 이렇게 inline으로 작업하진 않지만 참고
1) 주의할 점은, 스타일을 객체로 넣어야 한다는 것!
<p style={{color="red", fontWeight="30pt"}}>이렇게 객체로 작성</p>
2) 값은 ""따옴표로 감싸준다. (only 숫자는 그냥 기입해도 무방)
3) html + css 에서는 font-weight 인데 리액트에서는 fontWeight (다 이런식)
const Hellow = (prop) => {
return <div>
<p
style={{
color: 'red',
fontWeight: 500
}}>Hellow</p>
<p
style={{
color: 'green',
fontWeight: 900
}}>{prop.name}</p>
<h2>you are {prop.age} years old</h2>
<Wolrd/>
</div>
}
2. css 파일 활용하기
* css 파일은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전역에 영향을 미치는 css와 컴포넌트 전용 css가 있다
* class 선택자 사용하는 경우 className="" 으로 해야 함.
1) 전역 css 파일
- html + css 와 동일한 사용성
- Something.css 파일과 Nothing.css 파일이 있고 두개에 모두 .box{color: 썸띵엔 블랙, 낫띵엔 레드}가 있으면 오버라이딩 되어 하나만 따름. (둘 다 전역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import '../nice.css';
const Hellow = (prop) => {
return <div>
<p className="nice">you are {prop.age} years old</p>
<p className="nice">Helow</p>
</div>
}
2) 컴포넌트 전용 css 파일
- 모듈화하여 전역 스타일과 중복을 피할 수 있음.
- import한 컴포넌트에서만 우선적으로 쓰이는 스타일
★ 파일명은 이름.module.css (module이 들어가야 함)
★ import 할 때 import styles form "경로.css" (styles가 들어가야 함)
★ 스타일 적용할 때 클래스 이름을 "이름" 이 아닌 className={styles.이름}으로 해야 함
import styles from "./Hellow.module.css"
const Hellow = (prop) => {
return <div>
<p className={styles.box}>Hellow</p>
</div>
}
728x90
'reac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리액트] Router 초간단 라우터 구현 (0) | 2023.05.30 |
---|---|
[react 리액트] useState 초간단 사용법 (0) | 2023.05.29 |
[react 리액트] props 속성값 (Properties 프로퍼티) (0) | 2023.05.29 |
[react 리액트] 컴포넌트 Component 생성, import, export (0) | 2023.05.26 |
[리액트 react] 시작하기 (0) | 202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