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제용어 공부 7

[베블런 효과] 샤넬 또 올라?

최근 샤넬이 또 한번의 가격인상을 단행했다는 소식입니다. 올해 벌써 두번째 인상인데요! 보통 가격이 오르면 소비가 줄어드는게 상식인데 가뜩이나 비싼 제품을 계속 가격을 올렸는데도 잘 팔렸을까요? 네 😊 작년 대비 국내 매출이 30% 증가했답니다. 아래는 샤넬의 모회사인 LVMH의 주가와 매출 현황입니다. 이렇게 가격을 올리는데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베블런 효과라고 합니다. 용어의 유래 미국의 사회학자 베블런(T. B. Veblen)은 저서 '유한계급(Leisure class)론'에서 유한계급에 속하는 사람에게는 값비싼 물건을 남들이 볼 수 있도록 과시적으로 소비하는 것이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는 수단이 된다고 했다. 대중사회에서는 누가 더 잘 사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은 ..

경제용어 공부 2023.05.24

[경제용어 공부] FOMC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 📌 요약 1. 연방준비제도(연준, FRB) 산하의 위원회 2. 미국 기준금리 및 금융 정책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관 2. 연 8회의 정례회의를 갖는다. (매 6주마다 한번씩 소집, 필요에 따라 수시로 소집) 3. 12명으로 구성 (연방준비제도 이사 7명 + 지역별 연방준비은행 총재 5명)

경제용어 공부 2023.05.03

[경제용어 공부] LTV, DSR, DTI 주택담보대출 제한기준

이 글을 찾은 자 반드시 내 집을 갖게 될 지어다. 📌 LTV (Loan To Value Ratio : 주택담보대출비율) -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해준다. - 얼마를 해줄 지는 주택의 가치를 기준으로 한다. e.g) LTV 80%면 주택가치의 80%까지 대출 받을 수 있다는 뜻. (1억짜리 집이면 8천만원까지 대출) 📌 DTI (Debt To Income : 총부채상환비율) - 대출 받으려는 사람의 소득을 기준으로 대출을 하는데 1년 소득 중 몇 %를 빚갚는데 쓸 지 정함. - 소득 대비하여 금융 비용이 일정 수준을 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제도.(감당 못 할 빚 못지게 함) - DTI = (주택대출의 연간원리금상환액 + 기존 다른 대출의 연간이자) / 연간소득 *100 * 연간원리금상환액 = 1년에 갚아..

경제용어 공부 2023.05.02

[경제용어 공부] CFD 차액결제거래

📌CFD (contract for difference) - 일종의 '빚투' - 실제 주식을 매수하지 않고 주가의 변동에 따른 차익만 얻는 장외 파생상품 거래 - 진입가격과 청산가격의 차액만 결제 함 e.g) 4천원에 1만원 만큼 주식 삼. 1.5만원이 되면 5천원 받고 6천원으로 떨어지면 증거금 4천원 지불 📌특징 1) 주식은 금융사가 대신 사주기 때문에 양도세를 내지 않음. (대주주의 양도세 회피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2) 증거금률 최대 40%로 2.5배의 레버리지 가능 (e.g. 4천만원으로 1억 거래 가능) 3) 레버리지로 포지션 잡을 수 도 있고 하락 예상시 공매도(숏 포지션)를 할 수 도 있음(양방향 가능) *단, 동일 종목에 양방향 보유 불가 4) 주가 하락으로 증거금 초과한 손해 발생 시 추..

경제용어 공부 2023.05.01

[경제용어 공부] PF (프로젝트 파이낸싱)

최근 미디어에서 부동산 PF에 대해 말이 많은데요 PF와 부동산PF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약 돈 빌리는 사람의 신용이나 담보 대신, 프로젝트의 미래 수익성을 기반하여 해주는 대출이다. - 부동산 PF는 아파트, 상가 개발 등의 부동산 프로젝트의 분양 수익 등 미래 수익성을 기반하여 해주는 대출 📌단점 채무자의 신용에 기반한 것이 아닌 프로젝트의 수익성에 기반하여 대출을 해줬기 때문에, 프로젝트가 망한다면 대출금 상환을 못하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 - 경기 상승기에는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으나 - 경기 하락기에는 쪽박찰 수 있음. 📌예시 - 레고랜드 사태 레고랜드의 높은 수익성을 기대하고 PF 받았으나 레고랜드는 모회사인 멀린엔터테인먼트에 줘야할 로열티부터 상당해서 프로젝트 ..

경제용어 공부 2023.04.28

[경제용어 공부] 부채담보부증권 CDO

📌요약 부채담보부증권이란 회사채나 금융기관의 대출채권, 주택담보대출 채권 등을 묶어 만든 신용파생상품의 일종이다. 즉, 채무자로부터 돈 받을 수 있는 여러가지 채권을 묶어 제 3자가 투자할 수 있는 상품으로 만듦. 📌종류 1.목적에 따른 구분 1)수익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것(ArbitrageCDO) 2)신용위험을 투자자에게 전가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것(BalanceSheetCDO) 2.기초자산에 따른 구분 1)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경우에는 회사채담보부증권(CBO;CollateralizedBondObligation) 2)대출채권인 경우에는 대출채권담보부증권(CLO;CollateralizedLoanObligation) 📌역사 1990년대 중반에 처음 등장한 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발행 규모가 증가하였..

경제용어 공부 2023.04.27

쉽고 간단하게! 경제용어 100선 배워봐요 (추가 중)

하루 경제용어 2개씩 업데이트합니다! 1.부채담보부증권 (CDO) - 요약: 돈 빌려준 채권을 모아 다시 상품으로 만들어 판매 - 설명: 회사채, 대출채권을 하나로 묶어 유동화시킨 신용파생상품으로 위험과 수익을 투자자와 함께 나눈다. - 예시: 2007년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2.부가가치 - 요약: 가격 = 생산비 + (부가가치) - 설명: 제품이나 서비스에 새로 덧붙여진 가치 - 예시: A제품의 총 생산비는 100원이나 수요가 많을 것을 예측하여 가격을 500원으로 책정하였다. (400원 부가가치), 유명 연예인이 광고하는 곤약은 타 제품대비 '500원' 더 비싸다. 3.부채비율 - 요약: 총자산에서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 - 설명: 총부채/총자산 = 부채비율, 일반적으로 100%이하면 안정적이고, 20..

경제용어 공부 2023.04.0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