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1) setter 함수에 인자로 어떤 타입이 들어가냐에 대한 내용이다. 2) 그 중에서도 가장 기초적인 number, string, boolean 타입이 들어간 경우를 살펴본다. 2. input 태그를 활용하여 타입별 state 다루기 1) type 프로퍼티로 입력 받을 값의 타입을 정해준다. 2) value 프로퍼티의 값을 state 값으로 연결한다. 3) 값이 변할 때마다 감지하도록 onChange 이벤트 핸들러를 넣고 setter 함수로 state 값을 업데이트한다. 📌 Number 타입으로 선언해보면 이런 모양이다. function App() { //Number const [num, setNum] = useState(0); return ( 숫자 setNum(e.target.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