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VScode 터미널에서 router-dom 을 설치한다.
입력어: npm install react-router-dom
2. 라우터를 구현할 파일 내부에 필요한 컴포넌트 import
3. 사용 방법
1) 모든 UI는 BrowserRouter 로 감싼다.
- 구조: BrowserRouter > Routes > Route
*react-router-dom v6 부터 Switch 안씀. (v5까지는 Routes 역할을 Switch가 담당했었음)
2) UI 변화없이 동일하게 노출되는 영역은 <Routes> </Routes> 밖에 위치
3) UI 변경될 내용들은 <Routes> 안에 <Route>로 담음
4) 그리고 각 컴포넌트를 다음과 같이 담음 <Route path="/주소" element={<컴포넌트 />} />
📌 Route 에서 path 와 element 의 관계
1) path="/" (url/)일 때, DayList 컴포넌트를 불러오겠다 이기야
2) path="/day/:day" (url/day/day파라미터값) 일 때, Day 컴포넌트를 불러오겠다 이기야
3) path="/*" 위에 지정된 값 빼고 나머지 일 때, EmptyPage 컴포넌트를 불러오겠다 이기야
5) Route에서 path는 "이동할 주소"를 뜻함
- "/"는 첫 페이지를 뜻함. (내 사이트 url/ 와 동일)
- "/*"은 내가 지정하지 않은 다른 모든 잘못된 주소를 뜻하며 잘못 접속한 경우, 404화면 등 구현에 쓰임.
6) 클릭 시, 페이지 이동 기능을 구현하고 싶을 때,
- 리액트 Router 환경에서 링크는 a href="" 태그가 아닌 Link to="" 를 사용
- dom에서 Link 컴포넌트 import 해 온다.
- Link to="/원하는 주소" (url/원하는 주소) 와 같음
- 이런 식으로 표현도 가능
'reac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리액트] useEffect 초간단 사용법 (0) | 2023.05.31 |
---|---|
[react 리액트] useParams 동적 라우팅 구현 (0) | 2023.05.31 |
[react 리액트] useState 초간단 사용법 (0) | 2023.05.29 |
[react 리액트] props 속성값 (Properties 프로퍼티) (0) | 2023.05.29 |
[react 리액트] CSS 작성법 (0) | 2023.05.26 |